커패시터
전하를 충전/방전 시키는 소자로 직류성분을 제한한다. 일정 전압 이상에서 충전이 일어나고, 전압이 떨어지면 방전 시키므로 기기에 안정적인 전압을 공급하는데 꼭 필요한 소자이다.
커패시터는 기본적으로 용량이 있으며, 두 전극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두 전극의 면적이 클수록, 두 전극 사이의 절연체의 유전률이 높을수록 커진다. 여기서 유전률이란 부도체의 특성을 나타내는 하나의 상수이다.
일반적으로 커패시터는 극성이 없다. 하지만 절연체의 유전률을 높이기 위해 전해액을 사용하는데, 이 전해액이 극성을 띄면서 극성 있는 커패스터도 있다.
리플(ripple)이란 교류를 직류로 만들었을 때, 직류에 썩인 교류 성분을 말한다.
콘덴서 기호...
c언어 실습
간단한 c언어 코드를 작성하고 컴파일한 후 실행한 결과다
진법 변환
컴퓨터 세계에서는 '0', '1'만이 존재하기 때문에 2진법을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현실 세계에서의 수의 체계는 일반적으로 10진법이므로 10진수에서 2진수로 2진수에서 10진수로의 자유롭게 변환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2진수는 사람이 보기에 너무 길고 복잡하기 때문에 보통 16진수를 많이 쓴다. 왜냐하면 16진수는 한자리와 2진수 4자리가 매칭이 되고 변환하기 쉽기때문이다.
ex)
1011(2진수) -> b(16진수)
1011 1111(2진수) -> bf(16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