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히 넷북을 쓰는 사람들의 소감평 중 하나는 '넷북은 느리다' 입니다.

그것도 가끔 잘 나가다가 이해와 용서를 구하기 힘들정도로. ㄱ-;


오늘 순차실행 듀얼이슈작동방식을 탐구하다 원하는건 못건졌지만

엔하위키에서 우연히 이런 대목을 봤습니다.


http://mirror.enha.kr/wiki/%EC%9D%B8%ED%85%94%20%EC%95%84%ED%86%B0%20%EC%8B%9C%EB%A6%AC%EC%A6%88



마지막문단을 보면 때때로 특정 어플리케이션에선 펜티엄2 300mhz보다 느린 경우도 발생한다는 부분,


아톰이 일반 CPU에 비해 느린건 사실이지만 이론벤치마크성능에서

완전체 콘로 시리즈와 비교해도 동클럭 평균 절반의 성능을 보입니다.

더 느려질 때도 있지만 왠만해서 절반의 범위를 유지하는 벤치성능.


훨씬 더 구시대의 유물인 펜티엄2은 비순차실행방식이란 장점이 있지만

뒤떨어진 분기예측, 느린외장캐시, SSE 명령셋조차 없는 기본적인 구조로

왠만해서는 좋게봐줘야 동급클럭 아톰정도의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어째서 아득하게 먼 클럭차이가 있음에도 이론성능과는 별도로

순차실행 프로세서는 이런 체감성능 저평가를 받게되는 것일까요?


머릿속에서 곰곰히 스케치하다가 

우연히 떠오른 비교대상이 있다면 그것은 게임입니다.


아래와 같은 그림으로 그 예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느린이유.png 




게임의 체감성능을 좌우하는 것은 프레임 유지율 입니다.

아무리 높은 평균프레임을 가져도 특정상황에서 무척 느린 최소프레임을 가지면

멈추거나 끊겨보인 것 처럼 느끼게되고 느리다고 평가하게 되지요.


순차실행(InOrder)도 마찬가지입니다. 비순차실행(OutofOrder)와는 다르게

매우 무겁고 느린명령어를 처리하게되면 파이프라인을 따라 뒤따라오던 모든 명령어도 멈추게됩니다.

[A]와 비슷한 예로 64비트 정수나눗셈이 걸린다면 1~2클럭안에 처리할 수 있는 다른 [B,C,D] 같은

덧셈,뺄셈,로드,스토어,분기,시프트의 대부분의 명령어들이 수십, 많게는 수백클럭씩 지연되어집니다.


순차실행CPU가 비순차에 비해 2~3배 빠르다고 해도,

최악으로 꼬이는 경우에 100배 가까이 느려질 수도 있는게 순차실행구조입니다.

과학연산, 그리드컴퓨팅 용도에 보탠다던지 하는 PC끼리 짜고치는 활동이라면 몰라도

사람이 쓰기엔 무척 환경 정신건강에 악영향을 끼치게 만들 수도 있는게 이 순차구조인 셈이지요. ㄱ-

싱글코어니 듀얼코어니의 차원을 넘어 한 쓰레드에 얼마나 순간적으로 발목을 잡느냐를 말합니다.

성능 외에도 단일프로그램의 불규칙한 처리흐름을 고르게 해주는게 비순차의 역할인 것입니다.




결론은 '성능을 떠나서 인오더는 아웃오브오더의 상대가 될 수 없다' 입니다.


아톰과 비아나노를 비교대상으로 삼을 수도 있고, 곧 나올 밥캣을 대상으로 삼을 수도 있습니다.


심지어 휴대폰 임베디드에서 아웃오브오더를 택한 Cortex-A시리즈에게도 굴욕을 당할 소지가 잇습니다.


인텔이 차세대 넷북CPU에는 비순차실행구조를 도입할거라고 하니 그 때까지 지켜봐야겠습니다.




이론과 실제.png


출 처 : http://gigglehd.com/zbxe/4795843#8

  1. 데이지 체인이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하드웨어 장치들의 구성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SCSI 인터페이스는 최대 7개의 장치까지 데이지 체인형식을 지원한다.

  2. 데이지 체인은 예를 들어 어떤 장치 A가 B라는 장치에 연결되어 있고, 그 B라는 장치는 다시 C라는 장치에 연속하여 연결되어 있는 방식의 버스 결선방식을 말한다. 이때 가장 마지막에 있는 장치는 대개 저항장치 또는 단말장치에 접속된다. 모든 장치들은 동일한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지만, 단순한 버스와는 현저히 다르게 체인 내에 속한 각 장치가 하나 이상의 신호를 다른 장치에 전달하기 전에 내용을 수정하는 경우도 있다.
많은 분들이 궁금해 하시는 부분일텐데요
세계에서 하드디스크 제일 많이 쓰는 회사 구글에서 이와 관련해서 낸 논문이 있습니다.

하드디스크 사용률이 높으면 수명이 줄어들까? 라는건데,

본론부터 말씀드리면, 상관이 있긴 있는데 6개월 지나면 큰 상관관계가 없습니다


(AFR은 평균 고장률)

보시면, 첫 6개월 동안은 하드 사용률이 높으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두 세 배나 고장이 났습니다.

하지만 6개월 이후 부터는 다른 경우보다 고장률이 특별히 더 높지 않죠.
이미 고장날 놈들은 6개월 내에 다 고장났기 때문에 -_-;
그리고 5년 이후 부터는 다시금 고장률이 높아집니다.

또 한가지,

하드디스크의 자체검사(SMART) 기능으로 하드웨어 상태를 점검했을 때,
에러율이 높으면 곧 죽을 확률이 열 배 이상 높습니다.

여기서 내릴 수 있는 결론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약간이라도 불량이 있는 하드는
처음 6개월 이내에 죽을 확률이 높으므로, 새로 산 하드에 중요한 데이터를 넣지 않는다.

2. 6개월 이후부터는 막 굴리든 적게 굴리든 큰 상관 없이 잘 돌아감

3. 3년째 부터는 죽을 확률이 조금씩 높아지므로 마음의 준비를 시작한다

4. 하드디스크 SMART 모니터링을 하다가 에러 기미가 있으면 역시 마음의 준비를 한다

출처(원본) : http://bittalk.org/post127466-1.html
 

유투브에서 삼성 MLC SSD 256GB짜리 24개로 레이드를 구성한 시스템을 보았다.
정말 성능이 경악을 금치 못 할 정도다... 저 정도 시스템을 구축하려면 어느정도의 금액이 들지...
향후 몇 년 안에 저런 시스템을 써볼수 있을지 의문이다...
컴퓨터로 하는건 별로 없으면서 욕심만 많은것 같다 ㅎㅎ;;
작년 여름에 오버해서 쓰던걸 발열과 전기세의 압박으로 오버를 풀었다가 이번에 다시 오버를 하게 되었다.그때 시스템이랑 지금 시스템이랑 바뀐 점은 램이 하이닉스 1G*2에서 EKMEMORY 2G*2로 바뀐것 뿐이다. 예전 셋팅 그대로 이용하니 수월하게 오버가 가능했다...


인텔번 20회 통과했다...


프라임95 6시간30분 통과했다...

세부 셋팅은 대충 이렇다...
   CPU 전압 : 1.30v(바이오스상)
                    1.27v(아이들시)
                    1.26v(풀로드시)
   North전압 : 1.40v
   Sorth전압 : 1.05v
   Ram 전압 : 1.90v
   나머지셋팅은 auto이다.
온도는 대충 에버레스트 코어온도로 아이들시29-31도, 풀로드시 58-61도 정도였다.

 개인적으로 시스템에 너무 무리가 가는 극오버는 선호하지 않는다. 현재 수준의 오버가 사용하기가 딱 적당한 수준인 것 같다. 확실히 비오버시와 성능은 체감된다.

Q6600 컨츠필드 구입한지 2년쯤 된 것 같은데, 아직까지 요즘 나오는 cpu와 견주어 손색이 없는 명품 cpu인 것 같다. 한 2년은 사용하는데 무리 없을 것 같다. 하지만 시스템에 욕심이 많은 나에게 2년정도 더 사용할지는 의문이 든다.

+ Recent posts